안녕하세요. 오늘은 디스코드 봇을 24/7 운영할 수 있는 호스팅 서비스인 디스호스트를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디스호스트는 디스코드 봇 호스팅을 제공하는 SaaS 서비스입니다. 리눅스 서버 세팅이나, 쉘 접속 필요없이 GUI 패널을 통해 봇을 업로드 및 운영하실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언제나 한국어를 통해 즉시 지원을 받을 수 있고, 서버 역시 한국에 위치하여 레이턴시 문제 또한 없습니다.
먼저 가입을 위해서는 아래 링크를 통해 디스호스트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DisHost - 디스코드 봇 호스팅 서비스
기능 DisHost는 디스코드 봇 운영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제공합니다.
dishost.kr
그 후, 오른쪽 상단의 로그인 버튼으로 로그인하시면 됩니다.
로그인은 구글 로그인, 네이버 로그인, 카카오 로그인을 지원합니다. 원하시는 계정을 선택하시고 바로 로그인하시면 됩니다.
처음 로그인할시에는 이용 약관에 동의해주셔야 합니다. 자세히 약관을 읽어보신 뒤, 이용 약관 및 개인정보 처리방침에 동의하시면 됩니다.
봇 플랜을 구매하시기 위해선 Pterodactyl 패널을 먼저 연결하셔야 합니다. Pterodactyl 패널은 디스호스트에서 제공하는 GUI 서버 관리 시스템으로서, 서버의 전원을 키고 끄거나 코드를 업로드 및 수정하는 등의 모든 작업을 GUI로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적절한 이메일,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시면 자동으로 Pterodactyl 패널 계정이 생성됩니다.
크레딧 충전은 대시보드의 크레딧 탭에서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충전하기 버튼을 누른 뒤 가이드에 따라 결제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현재 결제 방법은 계좌 이체와 문화상품권 결제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구매하신 크레딧으로 봇 플랜을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봇 플랜은 월정액으로 결제되며, 필요하신 사양에 맞게 구매하시면 됩니다. 서버는 ARM 아키텍쳐 기반입니다. Node.JS와 Python은 인터프리터 언어이기 때문에, x86 아키텍처에 의존하는 특정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시지 않는 대부분의 경우에서 정상작동합니다.
봇 플랜을 결제하시면 Pterodactyl 패널을 통해 봇에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이후의 자세한 과정은 디스호스트 블로그의 공식 가이드를 참고하여 진행하시면 됩니다.
Dishost 사용 가이드 - Dishost
디스호스트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문서입니다.
blog.dishost.kr
감사합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1/M2 맥북 듀얼모니터 어댑터 비교 및 고찰 (Displaylink, Fresco, UDisplay) (0) | 2024.12.30 |
---|